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Internet Media Trend
야간 집회금지는 헌법 불합치 본문
조중동은 반발 혹은 외면하고, 한겨레 경향은 환영
미디어 오늘에서 헌재 결정에 대한 각 신문의 태도에 대해서 정확하게 분석했습니다.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107
9매 매체 사설 제목만 보아도...
대략 아래와 같이 3그룹으로 분리되는군요.
환영과 중도와 비판으로.
각 신문별 사설 제목
경향신문 <‘집회의 자유’ 헌법정신 되살린 헌재 결정>
한겨레 <낡은 굴레 푼 헌재 결정, 집시법 바로잡는 계기로>
서울신문 <헌재 결정, 집회문화 높이는 계기 되길>
한국일보 <성숙한 집회문화 일깨우는 헌재 결정>
국민일보 <헌재(憲裁), 나무만 보고 숲을 외면했다>
동아일보 <집시법 헌법불합치 결정, 현실과 거리 있다>
조선일보 <헌재(憲裁) ‘야간 집회 허용’이 폭력시위 괜찮다는 뜻 아니다>
중앙일보 <야간집회의 불법폭력화 대책 세워라>
머릿기사 일명 헤드라인은 아래와 같았다고 합니다.
어떤 매체는 헌재 판결에 대해서 머릿기사로 다루지를 않는군요.
극명한 차이가 드러납니다.
논조와 정책의 차이가 명확하군요.
경향신문 <“야간집회 금지 헌법불합치”>
국민일보 <야간 옥외집회 금지 조항/ 헌재 “헌법불합치” 결정>
서울신문 <‘야간 옥외집회 금지’ 헌법불합치>
세계일보 <야간 옥외집회 금지/ ‘헌법불합치’ 결정>
한겨레 <‘야간 옥외집회 금지’ 헌법에 위배>
한국일보 <야간 옥외집회 금지 헌법불합치>
동아일보 <서울대 정교수 ‘좁은 문(門)’/ 승진대상자 38%만 통과>
조선일보 <한(韓) “새로운 관계를 만들자”/ 일(日) “역사 직시할 용기있다”>
중앙일보 <넘치는 달러로 자원 싹쓸이/ 중국, 상반기만 72조 투입>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과 여론을 주도하는 위치를 볼 때
미디어의 생각은 정말 중요합니다.
진보적이거나 보수적인 매체들이 바뀐 미디어법에 따라 방송에서도 각자의 색깔을 드러내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걱정입니다.
색깔만 판치는 미디어가 될 까봐..
미래를 걱정하고 준비하고 문제를 찾아내어 해법을 제시하는 매체가 아니라.
마치 당리당략으로 정쟁을 일삼는 국회처럼, 언론이 방송까지 장악한 후에 매체의 이익을 위해서
여론을 호도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미디어 빅뱅의 시대에서
네티즌은 꿀벅지 같은 단어나 쫓아 다니고
언론은 말초적인 용어로 네티즌의 시선을 끌어당겨서 광고 수익을 만드는데 혈안이 되어 있고
연령대별로 클릭하고 관심 갖는 분야가 극명하게 나누어지면서
아젠다에 대한 통합된 의견을 모아내는 것은 애초에 꿈을 꾸지도 못하고
다양성이 존재하는 시대가 아니라
개인으로 파편화되어
군중 속의 고독만을 씹어대는 현대인들에게
미디어야말로 하나로 합쳐주는 절대적인 기제임에도 불구하고
미디어마저 폭풍 속의 돛배들처럼 방향 없이 헤메거나 서로 부딪혀 싸우느라 바쁘니
결국 서민의 현실적인 미래에 대해선 아무도 관심도 대책도 세워주지 않습니다.
정말 먹고 사는 것이 너무 어렵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절망하고 좌절합니다.
그들에게 새로운 꿈을 주어야 할 책임을 가진 리더들은 도대체 누구입니까?
오늘 우리 현실에 가장 무거운 책임을 가진 사람은 누구입니까?
책임을 누구에게도 묻지 못합니다.
지금의 이 상황은 모두 국민의 선택이기 때문입니다.
미디어 오늘에서 헌재 결정에 대한 각 신문의 태도에 대해서 정확하게 분석했습니다.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107
9매 매체 사설 제목만 보아도...
대략 아래와 같이 3그룹으로 분리되는군요.
환영과 중도와 비판으로.
각 신문별 사설 제목
경향신문 <‘집회의 자유’ 헌법정신 되살린 헌재 결정>
한겨레 <낡은 굴레 푼 헌재 결정, 집시법 바로잡는 계기로>
서울신문 <헌재 결정, 집회문화 높이는 계기 되길>
한국일보 <성숙한 집회문화 일깨우는 헌재 결정>
국민일보 <헌재(憲裁), 나무만 보고 숲을 외면했다>
동아일보 <집시법 헌법불합치 결정, 현실과 거리 있다>
조선일보 <헌재(憲裁) ‘야간 집회 허용’이 폭력시위 괜찮다는 뜻 아니다>
중앙일보 <야간집회의 불법폭력화 대책 세워라>
머릿기사 일명 헤드라인은 아래와 같았다고 합니다.
어떤 매체는 헌재 판결에 대해서 머릿기사로 다루지를 않는군요.
극명한 차이가 드러납니다.
논조와 정책의 차이가 명확하군요.
경향신문 <“야간집회 금지 헌법불합치”>
국민일보 <야간 옥외집회 금지 조항/ 헌재 “헌법불합치” 결정>
서울신문 <‘야간 옥외집회 금지’ 헌법불합치>
세계일보 <야간 옥외집회 금지/ ‘헌법불합치’ 결정>
한겨레 <‘야간 옥외집회 금지’ 헌법에 위배>
한국일보 <야간 옥외집회 금지 헌법불합치>
동아일보 <서울대 정교수 ‘좁은 문(門)’/ 승진대상자 38%만 통과>
조선일보 <한(韓) “새로운 관계를 만들자”/ 일(日) “역사 직시할 용기있다”>
중앙일보 <넘치는 달러로 자원 싹쓸이/ 중국, 상반기만 72조 투입>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과 여론을 주도하는 위치를 볼 때
미디어의 생각은 정말 중요합니다.
진보적이거나 보수적인 매체들이 바뀐 미디어법에 따라 방송에서도 각자의 색깔을 드러내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걱정입니다.
색깔만 판치는 미디어가 될 까봐..
미래를 걱정하고 준비하고 문제를 찾아내어 해법을 제시하는 매체가 아니라.
마치 당리당략으로 정쟁을 일삼는 국회처럼, 언론이 방송까지 장악한 후에 매체의 이익을 위해서
여론을 호도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미디어 빅뱅의 시대에서
네티즌은 꿀벅지 같은 단어나 쫓아 다니고
언론은 말초적인 용어로 네티즌의 시선을 끌어당겨서 광고 수익을 만드는데 혈안이 되어 있고
연령대별로 클릭하고 관심 갖는 분야가 극명하게 나누어지면서
아젠다에 대한 통합된 의견을 모아내는 것은 애초에 꿈을 꾸지도 못하고
다양성이 존재하는 시대가 아니라
개인으로 파편화되어
군중 속의 고독만을 씹어대는 현대인들에게
미디어야말로 하나로 합쳐주는 절대적인 기제임에도 불구하고
미디어마저 폭풍 속의 돛배들처럼 방향 없이 헤메거나 서로 부딪혀 싸우느라 바쁘니
결국 서민의 현실적인 미래에 대해선 아무도 관심도 대책도 세워주지 않습니다.
정말 먹고 사는 것이 너무 어렵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절망하고 좌절합니다.
그들에게 새로운 꿈을 주어야 할 책임을 가진 리더들은 도대체 누구입니까?
오늘 우리 현실에 가장 무거운 책임을 가진 사람은 누구입니까?
책임을 누구에게도 묻지 못합니다.
지금의 이 상황은 모두 국민의 선택이기 때문입니다.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영이 사건의 진실. 사형제도 반대였으나 찬성하고자 합니다. (1) | 2009.10.02 |
---|---|
고딩이 공부는 안하고 키스방 가려고 알바나 하다니 (2) | 2009.09.29 |
천인 공로할 나영이 사건 가해자 (2) | 2009.09.29 |
사례로 본 언론과 전화의 <차가운 참여적 성격> (0) | 2009.09.27 |
구글 애드센스 담당자에게 (0) | 2009.09.27 |
소셜 컴퓨팅에 대한 카이스트 한상기 교수의 강의 영상 (0) | 2009.09.24 |
시장 1위 기업 다운 네이버의 오픈 전략 (2) | 2009.09.23 |
마이크로미디어 블로그의 힘과 매스미디어의 싸움에서의 승자는? (0) | 2009.09.20 |
불법과 합법의 경계 - 저작권에 대한 단상 (0) | 2009.09.05 |
한국, 인터넷 서비스의 무덤 (0) | 200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