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목록트위터 (83)
Internet Media Trend
아래 이미지는 아이폰 트위터 공식 앱에서 트위터의 CEO인 Evan Williams의 프로필을 살펴본 것입니다. 에반 윌리암스의 프로필 사진 우측에 이름이 있고, 그 아래에 그의 트위터 아이디가 표시되어 있고, 그 아래에 #20 이라는 숫자가 있습니다. 그가 트위터라는 회사를 만들었지만 가입 순서로는 1번은 아니었던 모양입니다. 20번째로 가입을 했으니, 아마도 실무 개발자들이 그 앞쪽의 번호들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혹시 아이폰 이용자이면서 트위터를 사용하신다면 자신의 트위터 프로필 페이지에 가보세요. 최근에 가입하셨다면 1억5천만 이상의 번호가 부여될 겁니다. 저는 비교적 가입은 빠른 편입니다. 물론 그래봐야 1100만 번째이군요.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약 81만번째로 가입했습니다. 정말..
트위터 팔로잉 리미드타 자꾸 걸려서 한 가지 방법을 생각중입니다. 일부 스타들 혹은 유명인들이 맞팔을 하지 않아 주는 통에 팔로잉 리미트 90%에 걸려서 자꾸 팔로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서 조금 짜증이 납니다. 아직 2000 팔로잉에 도달하지 않으신 분들은 이해 못하실테구요. 2000명 이상을 팔로잉하는 분들은 팔로어 수가 팔로잉 수의 90% 정도에 미달하면 더 이상 팔로잉할 수 없는 사태를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그렇다고 읽어야 할 글을 안 읽을 수는 없는데.. 방법이 있습니다. 팔로잉 해주지 않는 스타들을 하나의 리스트에 몰아 넣는 방법입니다. unfollow라는 리스트를 하나 생성해서 넣어주면 팔로잉하지 않더라도 리스트에 들어가면 읽을 수 있습니다. 내가 팔로잉하는데 나를 팔로우하지 않는 사람을 ..
블로그에 트위터 버튼을 붙이세요 트위터 블로그에 트위터 버튼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http://blog.twitter.com/2010/08/pushing-our-tweet-button.html 블로그에 트위터 버튼을 붙이려면 다음 페이지에서 소스코드를 가져오면 됩니다. http://twitter.com/goodies/tweetbutton 티스토리 이용자들은 만일 제 블로그처럼 글의 본문 앞에 설치하려면 티스토리의 본문 내용 치환자인 '##_article_rep_desc_##'를 소스코드에서 찾아내어 그 앞에 트위터 버튼 소스 코드를 복사해 주시면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소스코드 수정은 티스토리 관리자의 스킨 메뉴 아래에 있는 HTML/CSS 편집으로 들어가면 되는 것은 아시죠? Ctrl + F..
출처 : http://justtweetit.com/twitter-tools/ Browser Tools BAROFBIRDS - Now you can use your favorite community site easy by using the new toolbar; “BarOfBirds” BIGTWEET - BigTweet installs as a bookmarklet to all major browsers and lets you post to Twitter from any Web page. It can automatically capture the page link (built in URL shortening available), title and any highlighted text. It also let..
자신의 트위터 페이지의 세팅 메뉴에 들어가서 커넥션 탭을 보면 아래와 같이 그동안 인증한 트위터 API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You've allowed the following applications to access your account Sponsored Tweets by IZEA, Inc. SponsoredTweets.com is a revolutionary new Twitter advertising platform from IZEA, the world leaders in sponsored conversations. Revoke Access · approved on 12:19 AM today · read and write access 트윗모아 by Individual This site is ow..
#social_study 소셜 미디어 관련 기사가 무려 9건입니다. 바야흐로 소셜 미디어의 폭풍 시대입니다. 가장 많이 언급되는 서비스는 역시 트위터와 페이스북입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다음의 관심사는 역시 스마트폰입니다. 아이폰이건, 블랙베리건, 갤럭시이건. 한국 IT의 화두는 결국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스마트폰에서 어떻게 활용해서 비즈니스를 해야 하나.. 뭐 이렇게 정의해도 될까요? [연합뉴스] 미 ABC協 "디지털구독 신문부수 인정" [기자협회보] 모바일 패러다임에 선 뉴스의 운명 [블로터닷넷] ‘사회적 본인확인제’ 어떠신가요 [연합뉴스] 네이버 검색점유율 반격 먹혔다 [매일경제] 트위터에 한국적 情이 흐른다 [디지털데일리] 국내 전체인구 중 5%가 스마트폰 사용 중 [디지털데일리] “너무나 강력한 ..
나홀로 블로그를 기반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것은 시대적 트렌드에 맞지 않다고 판단되어 조금 버겁다고 생각되지만 시도해 보려 합니다. 모임의 근거지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모두 가져갈 계획입니다. 두가지 서비스가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트위터에서는 트윗애드온의 한국트위터모임 기능을 이용해서 모임의 구성원을 모집하고, 주로 간단한 정보교류 중심으로 이용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페이스북에서는 페이스북의 그룹 기능을 활용하여 좀 더 심도 깊은 논의로 발전시켜 보면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런 류의 모임들이 많고, 온라인 중심의 모임은 생명력이 짧거나 발전되기 어려움을 잘 알고 있기에, 실제 모임을 끌고 갈 핵심적인 운영진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해보면서 시행착오도 겪고 그렇..
카이스트 차미영 박사의 연구결과에서 팔로어수와 영향력은 큰 관계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몇일전 도미노 피자의 팔로어 확보 이벤트와 같은 일들이 무의미한 일이라는 소리입니다. 공연히 노이즈만을 만들어내고 시장에서 네거티브한 결과를 얻을 뿐입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대해서 다들 너무 쉽고 간단하게 생각하고 이용자를 귀찮게 하는 오류에 빠져 있습니다. 자료를 공유합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연구하시는 분들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차미영 박사와 관련된 최근 뉴스 링크 - 카이스트뉴스 KAIST 출신 차미영 박사, 트위터 사용자 영향력 분석 - 사이언스 온 “트위터 팔로어 숫자는 영향력과 무관” - 뉴욕 타임즈 The Million Follower Fallacy: Audience Size Does..
트위터 관련 매쉬업 사이트 중에서 통계 등에 관련된 곳을 살펴 보았습니다. 상당히 방대합니다. 거의 대부분이 해외 사이트입니다. 국내에선 아직 트위터 관련 매쉬업이 많지 않습니다. 1. 트위터 사용자 수 통계 http://twtkr.com/oikolab 한국에서 작성된 트윗을 검색하여 트위터 사용자 수를 추정하여 발표하는 봇 2. 트위터 랭킹 http://twitoaster.com/country-kr/ 한국 혹은 전세계의 트위터 랭킹을 볼 수 있음 자신의 랭킹이 몇 위인지 알 수 있음 http://twittown.com/friends/topfollowers_1 팔로어수 기준 랭킹 http://twitaholic.com/ 팔로어수/팔로잉 등 기준으로 보여주는 랭킹 3. 개인별 트위터 분석 http://ww..
트위터를 싫어하는 매체. 왜 그럴까? 몇몇 언론사에서 트위터 등의 소셜 미디어에 대해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기사들이 가끔 보입니다. 기성 언론들은 뉴미디어의 힘이 강해지면 긴장하고 질시하는 글을 쓰곤 합니다. 그동안 누려왔던 지위에 타격을 받을까 전전긍긍하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론 언론사마다의 하향식 논조를 사설만이 아니라 편집을 통해서도 극명하게 드러내 보이는데, 소셜 미디어에선 이런 편집은 먹히지 않게 되므로 언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잘 전달되지 않게 되어 내심으론 상당히 불편해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언론사 중에서 특히 보수적인 매체들은 보수라는 말 그대로 변화보다는 안정을 원하는만큼 뉴미디어라거나 급격한 변화에 대해서 부정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시장의 원리상 하위 사업자보다는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