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목록트위터 (83)
Internet Media Trend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의 소셜 서비스를 통합하여 브라우저 우측에서 보여준다면? 어느 서비스이건 막론하고 베스트 프렌드를 별도로 그룹핑할 수 있다면? http://flock.com/ 플록이라는 소셜 웹브라우저에서는 아래 그림처럼 우측 영역에는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등의 계정을 통합하여 트윗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그룹 기능을 설정하여 3가지 서비스를 통합하여 베스트 프렌드를 설정하여 별도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크롬 브라우저와의 호환성도 좋습니다. 소셜브라우저는 플록 외에도 록멜트(http://rockmelt.com/)가 있으나, 록멜트는 국내에선 접속이 안되며, IP대역을 바꾸어 접속하더라도 곧바로 브라우저를 다운로드 할 수 없어서 테스트가 불가능합니다. 소셜웹브라우저는 소셜미디어나 SNS..
플리커에 사진을 올려서 트위터로 내보내고 싶다면? http://www.flickr.com/account/blogs/add 1. 플리커에 로그인한 후에 자신의 아이디를 클릭하여 계정에 들어간다. 2. 계정의 4번째 탭인 Sharing & Extending을 선택한다. 3. 하단의 블로그 구성을 선택한다. 4. 블로그에서 트위터를 선택한다. 플리커와 트위터 연동하기 페이지 : http://www.flickr.com/account/blogs/add/twitter 플리커 트위터 연동방법 소개 동영상 보기 : http://www.flickr.com/photos/phploveme/3681119456/
코리안트위터에서 트위터 영향력 순위 베타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팔로어가 많다고 영향력이 많은 것이 아니라는 점은 다들 잘 아실 겁니다. 그래서 해외에서도 영향력에 대한 많은 분석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드디어 영향력을 알아보는 순위가 나왔군요. 우선 시도 자체를 높이 평가합니다. 다만, 1. 기준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공개할 필요가 있고, 2. 7위와 8위에 랭크된 쇼핑몰과 카드 계정에 대한 해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단순한 RT 이벤트 등을 통해서 리트윗 되는 것도 영향력으로 본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데, 이벤트는 제외하는게 맞겠지요. 여하간 현재 수준으로도 상당히 흥미로운 통계입니다. http://koreantweeters.com/ktwitter/top/0/1/score
소셜 트위스트에서 발표한 아래 자료에 따르면 http://tellafriend.socialtwist.com/sharing-trends-2010 소셜 미디어 이용율은 24%에 불과하지만, 링크를 클릭하여 유입되는 비율인 Click Through Rate은 무려 60%나 된다고 합니다. 소셜 미디어 이용율은 24% 소셜 미디어 클릭율은 60% 구체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살펴보자면 페이스북과 트위터 이용율은 아래와 같이 페이스북 78%, 트위터는 5%입니다. 정말 놀라운 점은 클릭율입니다. 페이스북의 클릭율은 287%, 소셜미디어의 클릭율은 1904%입니다. 상식적으로 클릭율이 100%를 넘어간다는 것이 좀 이상합니다만, CTR이 높다는 이야기로 받아 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CTR이란 것은 노출대비 클릭율로..
해외에서 개발된 멘션맵(http://apps.asterisq.com/mentionmap/#) 서비스도 유용하지만, 국내에서 만들어진 사이람의 트위터맵은 오히려 멘션맵보다 더 유용한 면이 있습니다. 아래 사이람의 공식 블로그에서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트위터 맵]누가 누구랑 대화했을까? 관련 동영상 보기 제가 가진 네트웍 중에서 제가 잘 알거나 주로 멘션을 보내는 분들까지 확장하니 트위터맵이 아래처럼 펼쳐집니다. 최초에 검출된 분들 중 한 분을 클릭하면 아래처럼 계속 그분의 네트웍까지 영역을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검색어까지 입력했을 때는 관련 트윗이 아래에 나타난다고 하는데, 제 경우엔 특정 키워드에 집중되지 않아서인지 잘 찾아내지 못했습니다.
Who to Follow는 보통 트위터 우측에 2명 정도가 추천되고 있는 것은 다들 잘 아실 겁니다. 오늘 소개드릴 기능은 Who to Follow Page입니다. http://twitter.com/#!/who_to_follow 이 페이지는 로그인하게 되면 나타나는 본인의 아이디를 클릭했을 때 메뉴가 나타납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3번째에 후투팔로우 페이지로 가는 메뉴가 있습니다. Who to Follow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면 아래처럼 나타납니다. 현재 제가 팔로잉하고 있는 분들의 목록이 나타나는데, 바로 아래에 유사한 분이 자동으로 추천됩니다. KBS 김해정 기자를 팔로잉을 했더니 바로 아래에 자동으로 KBS의 박은주 기자를 추천해줍니다. 이 추천이 상당히 놀랍습니다. 정말 유사한 분들을 추천해 ..
트위터라는 공간이 소통의 공간이고, 설령 의견의 차이가 있더라도 수용할 수 있을 만한 공간입니다. 똘레랑스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정치적 신념이나 종교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하지만, 의사 소통이 불가능한 사람들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럴 경우엔 간단하게 Unfollow를 하면 됩니다. 트위터는 Following과 Unfollow에 대해서 관대한 공간입니다. 너무 그 자체에 연연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실 간단하게 Unfollow만으로도 대다수의 문제는 해결이 되지만, 상대방이 내 글을 읽는 것 조차 싫을 경우에는 Block을 하게 됩니다. Block은 상대방이 나를 Fllowing하는 것을 차단하는 조치입니다. 더 이상 말 섞고 싶지 않을 정도의 상대방이 있을 경우 어쩔 수 없이 Block..
@nytimes – 2,668,948 @wsj – 464,591 @washingtonpost – 204,514 @latimes – 83,335 @usatoday – 72,929 @newyorkpost – 57,605 @chicagotribune - 34,490 * @denverpost – 32,755 @dallas_news – 24,726 @seattletimes – 22,286 @suntimes – 18,952 @freep – 18,851 @nydailynew – 15,744 @houstonchron – 14,108 @azcentral – 10,407 @oregonian – 10,338 @phillyinquirer – 9,819 @SFGate – 9,508 @clevelanddotcom – 7,943 ..
여러 종류의 트위터 관련 통계 및 분석 서비스가 있습니다. 트위터카운터나 트위터어낼라이즈, 트윗토스터 등도 좋은 서비스입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서비스는 영향력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합니다. 특히 재미있는 점은 이용자의 Type에 대한 평가입니다. 아래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크게 5가지 형태의 타입을 제시합니다. 5가지 유형의 타입에 대해선 아래 링크에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http://smallbiztrends.com/2010/07/the-5-types-of-influencers-on-the-web.html Everyday Users have a small circle of influence but great potential Reporters are connecte..
간단한 이야기입니다. 트위터에는 자신의 프로필을 작성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누군가가 자신을 팔로잉하기를 원한다면 프로필 사진과 간략한 자기소개를 잘 작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팔로어를 보는 페이지에 가면 아래와 같이 자신의 팔로어가 나타납니다. 체크 표시가 된 사용자는 본인도 맞팔로잉을 하고 있는 상태를 알려주며 + 표시가 있는 사용자는 아직 맞팔로잉을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프로필 사진이 본인의 사진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알 이미지거나 다른 이미지들인 경우에는 아무래도 팔로잉을 받기 어렵습니다. 특히 Bio 정보가 상세하지 않은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트위터가 맞 팔로잉을 반드시 요구하거나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많은 팔로어를 반드시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나, 팔로어 확보를 중요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