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목록트렌드 (15)
Internet Media Trend
다음, 2010 미디어다음 트렌드 보고서 발간 - 다음, LG경제연구원과 한국인의 관심사와 라이프스타일을 연구 및 발표 - 경제, 문화·생활, 스포츠엔터테인먼트 등 3개 분야에 걸쳐 대표키워드 16개 선정 - 정교한 조사 기법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분석 결과 제공 최근 1년 동안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주요 관심사는 스마트폰, SNS, 커피, 걷기, 빠른 소비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LG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미디어 소비를 통해 본 한국인의 관심사와 라이프스타일(http://media.daum.net/trendreport/2010)’ 보고서를 발표하고 경제, 문화·생활, 스포츠엔터테인먼트 등 3개 분야의 대표 키워드 16개를 선정했다. 한국인의 관심사와 라이프스타일 이번 연구는 20..
방송기술인협회 요청으로 발표한 자료입니다. http://www.slideshare.net/pourmarx/kbs-2010930 미디어 트렌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Media Trend 2.Ad Market trend 3.Hot Issue 4.Smart TV 5.Social Media 6.App Store Statistics 7.Conclusion 미디어트렌드(Kbs 2010.9.30)-발표자료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Dino Kim.
SLIDESHARE.NET에 업로드했으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자료의 상당수 데이터는 기존에 공개된 자료들에서 발췌한 것이므로 CCL-Non Commercial로 등록하였습니다. 온라인 미디어 트렌드 및 대응 전략(Online Media Global Trend & Coping Strategy)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Dino Kim.
오늘 오픈 IPTV 워크샵에서 발표한 자료 공유합니다.입니다. 슬라이드쉐어에 올려두었습니다. http://www.slideshare.net/pourmarx/ss-5012204 미디어 트렌드 및 대응 전략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pourmarx.
매쉬어블에 아래와 같이 5가지 트렌드를 제시한 기사가 떴습니다.Top 5 Mobile Commerce Trends for 2010 1. Bargain Hunting 2. Mobile Ticketing 3. Banking 4. Tangible Goods 5. Marketing 삼성이 매쉬어블의 모바일 관련 기사에 후원을 하고 있군요. 대단합니다. 기사에 삼성 갤럭시 페이지 링크가 걸려 있군요. http://galaxys.samsungmobile.com/
오늘 2개의 트렌드 관련 사이트를 찾았습니다. 트렌드 모니터 http://www.trendmonitor.co.kr/ 이 사이트는 트렌드와 관련된 다양한 보고서가 있는 곳으로 유로로 자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메타트렌드 http://www.themetatrend.com/ 해외 사이트이면서 국내에도 법인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곳은 일종의 유료 매거진 서비스이긴 하나, 하부 서비스가 유용합니다. http://www.trenddb.com/ 이 사이트에서는 매일 매일의 트렌드 키워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트위터로도 소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http://twitter.com/METATRENDkr
트위터에는 해쉬태그라는 것이 있어서, #을 입력하고 주제어를 입력하면 그것이 트렌드에 반영된다고 합니다. Trending Topics가 그렇게 해서 보여지는 것이라고 하는데. 해쉬태그 통계는 이 사이트에서 보여집니다. http://hashtags.org 검색도 지원하므로, 여기서 검색을 해서 특정 주제어에 대한 트렌드나 관련 트윗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한글은 지원하지 않는군요. 한글과 관련된 통계가 있는지 찾아봐야겠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영화 아바타로 검색해본 결과입니다. 조금 주춤하는군요.
이 사이트에서는 트위터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주제가 어떤 것인지를 알려 줍니다. 해당 주제를 클릭하면 왜 그것이 이슈가 되었는지에 대한 글도 있군요. 나름 유용해 보입니다. 문제는 트위터가 해외 서비스이다보니 모두 해외에서의 이슈만 있다는 것입니다. http://whatthetrend.com/
신문을 보다보니 아래와 같이 10가지로 웰빙에 대한 트렌드 키워드를 정리한 기사가 눈에 띕니다. (트렌드브리핑) 21세기 메가 트렌드 키워드 'Well Being' 코드 1. ‘머니 애프터 마인드 퍼스트’(mind first) 물질보다는 마음, 영혼, 연대감, 나눔의 덕목 2. ‘브레인 웰쓰 트렌드’(brain wealth) ‘두뇌 부자, 지식 부자’ 지식을 많이 쌓는 사람이 진짜 부자 3. ‘퓨어 푸드 트렌드’(pure food) ‘순수한 자연 음식’ 친환경이나 유기농 식품 트렌드 4. ‘미디어로 호사하기 트렌드’(I love Media) 유비쿼터스 미디어 5. ‘젊어지기 트렌드’(younger then younger) 패션, 미용, 헬스케어 등 6. ‘고우 네츄럴 트렌드’(go natural) 자연으..
패션과 트렌드 전문성을 확보하려면 무엇보다 트렌드에 강해져야 한다. 흔히 일시적인 유행을 패션이라 하고 장기적인 경향성을 가지게 되면 트렌드라 한다. 패션과 트렌드는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포털 검색어에 떠오르는 패셔너블한 주제들은 이미 많은 네티즌이 그 검색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일정한 규모의 방문자를 끌어 모으게 된다. 그러나 앞서 이야기했듯이 패셔너블한 주제들은 그 때 뿐이다. 이런 글쓰기를 통해서 방문자를 확보한 블로그는 글쓰기가 중단되면 방문자도 줄어든다. 검색어 순위와 롱테일 인터넷은 본질적으로 검색과 링크에 기반한 미디어이다. 그러므로 수많은 검색어가 존재하며 정보 가치가 있는 좋은 글이 되면 누군가가 링크를 걸어주게 마련이다. 수많은 검색어 중 상위에 랭크되는 검색어는 일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