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목록미디어 (20)
Internet Media Trend
랭키닷컴 뉴스/방송 모바일 순위 TOP 100 (2018년 3월 4주차) 순위 매체 모바일 순위 1 조인스닷컴 16 2 중앙일보 21 3 동아일보 22 4 조선닷컴 26 5 연합뉴스 32 6 한겨레 44 7 매일경제 61 8 인사이트 66 9 머니투데이 71 10 더팩트 78 11 SBS 84 12 경향신문 95 13 허핑턴포스트 96 14 아시아경제 109 15 제주의 소리 118 16 오마이뉴스 121 17 뉴스1 122 18 헤럴드경제 133 19 한국경제 135 20 JTBC 147 21 미디어오늘 151 22 뉴시스 160 23 국제신문 165 24 국민일보 170 25 한국일보 171 26 노컷뉴스 173 27 스포츠조선 174 28 YTN 179 29 위키트리 191 30 KBS 209 31..
오늘 트윗애드온에서 가장 많이 리트윗된 뉴스를 보니, 바로 아래의 뉴스입니다.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최근 MBC 노조의 파업으로 방송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방송사고가 속출하는 가운데, MBC는 불법 파업으로 방송이 고르지 못해 죄송하다는 메시지만 내보내고 있습니다. 왜 파업 혹은 제작거부가 불가피했는가를 미디어 기업의 노동자가 자신의 미디어로는 말할 수 없는 것이 오늘 우리가 처한 미디어의 현주소인듯합니다. 불현듯 알뛰세르가 생각나서 구글링을 해보니 누군가 잘 요약해 놓은 글이 보입니다. 일부 내용을 그대로 옮겨 봅니다. -알뛰세르는 사회의 재생산 전체 즉 생산관계들의 재생산을 보장하는 법, 정치, 이데올로기적 상부구조에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억압적 국가기구(Rep..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에서 제공하는 미디어맵(http://www.mediamap.co.kr/)은 각 매체들이 스스로 매체 정보를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시간 현재 등록된 매체 수는 979개다. 그렇다면 실제 한국에 등록된 정기간행물의 수는 몇 개일까? 문화체육관광부의 정기간행물 검색 서비스(http://pds.mcst.go.kr/moon.jsp)를 살펴보면 13264개의 제호가 등록되어 있다. 이 숫자는 등록 신청되어 심사중인 매체까지 포함된 것으로, 제호가 등록되어 있다고 하여 실제 매체가 운영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2011년도 미디어 정책 업무 보고에 따르면 2010년 12월 기준 등록 매체는 일간 328개, 주간 2,466개, 인터넷신문 2,386개가 등록된 것으로 집계되었..
페이스북 통계를 제공하는 소셜베이커스에서 페이스북에서 가장 많은 팬을 확보한 미디어 통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올드 미디어들이 온라인에서는 맥을 못추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디어는 CNN이나 BBC같은 올드 미디어가 아닙니다. 바로 유튜브입니다. http://www.socialbakers.com/facebook-pages/media/ 하지만 이런 유튜브조차 팝스타를 이기지는 못하고 있고, 1위 자리는 게임 페이지가 차지했습니다. 마이클 잭슨과 레이디가가는 유튜브보다 더 많은 팬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디어 영향력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볼 대목입니다. http://www.socialbakers.com/facebook-pages/
CNN 팔로어는 370만 http://twitter.com/#!/cnnbrk 팔로어수 17위 뉴욕타임즈 팔로어는 280만 http://twitter.com/#!/nytimes 팔로어수 30위 타임지 팔로어는 230만 http://twitter.com/#!/TIME 팔로어수 45위 피플지 팔로어는 230만 http://twitter.com/#!/peoplemag 팔로어수 46위 트위터의 팔로어 수가 반드시 매체의 영향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트위터의 영향력이라는 점은 얼마나 많은 사람이 팔로잉하는가에 못지 않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글을 읽어주고, 반응해주는가도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팔로어 수가 무의미하지는 않다. 트위터라는 서비스의 속성상 사람들은 무언가 관심이 가는 있는 이를 팔로잉한다. 주..
페이스북도 콘텐츠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종의 미디어 플랫폼입니다. 어떤 미디어가 승자가 될지는 불분명하지만 페이스북처럼 공유와 전달을 수행하는 플랫폼은 쉽게 무너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블로그는 콘텐츠 중심의 소통인데 반해 페이스북은 관계맺기를 선행한 후의 소통입니다. 사람 중심의 소통 방식인만큼 강력한 유대관계가 있습니다. 블로그는 다수와의 열린 커뮤니케이션입니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다보니 더 많은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다만 페이스북처럼 필자와 독자간의 강력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아 사용자의 많은 반응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페이스북은 친구 관계가 형성되어 있기에 다른 사람으로부터 반응을 도출하기 용이합니다. 특히 LIKE 버튼이 나온 후로는 그러한 상호 반응이 더욱 활성화되었습..
미국 미디어 이용 통계 2008년부터 2010년까지의 미디어 이용 통계입니다. 일일 이용 시간으로 볼 때 성장률이 가장 높은 것은 역시 모바일입니다. 2009년에는 전년 대비 22%성장했고, 2010년에는 전년 대비 28% 성장했습니다. 신문과 잡지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인터넷과 모바일 이용시간만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사업자가 시장 지배적 사업자가 되었을 때, 정말 무서워집니다. 구글, 페이스북 모두 시장을 지배하고 있죠. 세계를 지배하는 두 기업이 아직도 한국에서는 네이버나 싸이월드 같은 토종 기업과 비교해보면 점유율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일부에선 역시 네이버, 싸이월드 하면서 자화자찬 하고 있는데, 제가 보기엔 정말 심각합니다. 인터넷 서비스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놓쳐버린지 오래되서 이젠 모두들 감도 없는 상태가 되어버렸습니다. 최근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아이폰으로 이야기되는 TGIF 서비스를 이용해 보면 세상이 얼마나 빨리 변해가는지를 알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우물안 개구리처럼 한국 서비스만 이용하는 네티즌들은 외부의 변화에 대해서도 반응이 느리고, 세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다가올 다음 ..
페이스북 전도사 최규문님이 알려주셔서 알게된 자료입니다. Baekdal이란 분이 작성한 것으로 해외에는 상당히 유명한 분이라 하는군요. 사이트 들어가보니 정말 볼만한 글들이 많아서 마치 보물상자를 찾은 듯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http://www.baekdal.com/media/market-of-information 글을 읽어보시면 1800년대부터 지금까지의 미디어의 출현에 따른 미디어 소비 혹은 지형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전통 미디어는 죽는다는 그의 주장에 대해서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보기엔 조금 과한 주장인 듯 합니다. TV라는 매체나, Radio, 신문과 같은 전통적인 매체들이 그렇게 쉽사리 사라지지는 않으리라 봅니다. 종이에 활..
방송기술인협회 요청으로 발표한 자료입니다. http://www.slideshare.net/pourmarx/kbs-2010930 미디어 트렌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Media Trend 2.Ad Market trend 3.Hot Issue 4.Smart TV 5.Social Media 6.App Store Statistics 7.Conclusion 미디어트렌드(Kbs 2010.9.30)-발표자료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Din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