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목록다음 (19)
Internet Media Trend
한동안 다음뷰 계정에 문제가 있어서 테스트도 못했습니다. 뷰애드 관련 글 : http://v.daum.net/link/7289160 구글 애드센스와 다음뷰애드가 다시 새로운 경쟁을 하게 될 듯 합니다. 물론 티스토리 내에서의 이야기입니다. 실제 광고계에서는 오버츄어의 키워드광고와 구글 애드센스가 격돌하고 있으나, 시장 내에서는 오버츄어의 힘이 아직은 훨씬 강하다고 판단됩니다. 여하간 이 시장에 다음의 뷰애드가 나타나면서 다시 3국지처럼 3각 구도가 만들어지길 기대해 봅니다. 이미 뷰애드가 출범한지 1개월이 된 지금 위에 링크한 글에 걸린 트랙백을 살펴보면 안정화에는 조금 시간이 걸릴 수 있겠다고 생각됩니다. 최근 관련 글 중에는 6월 블로그 결산과 애드센스 궁합이라는 글이 눈에 띕니다. http://v...
제 블로그는 오래 전에 다음 블랙리스트에 올라가 있습니다. 이유도 모르겠고, 한번의 통보 없이 어느날 블랙리스트에 올리더니 영원히 재가입 불가이군요. 아마도 다음에 대해서 몇 번 씹은 후에 그렇게 된 것 같은데, 문의 메일 보내도 답변도 없고, 그냥 씹는군요. 정말 웃기는 일입니다. 언제까지 그렇게 할지는 모르겠는데, 계속 해결해 주지 않으니 본격적으로 한번 싸워볼까 하는 생각이 드는 참입니다. 공안 당국도 아니고, 블랙 리스트라니.... 왜 하는 짓이 누구 닮아 가는건지...
다음디렉토리 검색으로 각 언론 사이트의 네이버 유입량을 살펴본 결과입니다. 네이버 유입은 뉴스캐스트와 네이버에서 각 매체명을 검색하여 유입된 것의 합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중동 다음으로는 스포츠 매체 2곳이 있습니다. 이 통계는 측정기간에 대해서 다음디렉토리 검색이 밝히고 있지 않아서 정확히 확인할 수는 없으나 주간 평균일 것으로 짐작됩니다. 순위 매체 네이버 유입량 1 조선 792,978 2 조인스 698,724 3 동아 689,531 4 스포츠서울 643,371 5 스포츠조선 614,444 6 한국 581,007 7 스포츠동아 508,573 8 한국경제 502,832 9 아시아경제신문 502,281 10 쿠키 481,875 11 일간스포츠 463,137 12 세계 436,629 13 한겨레 276,..
블로그를 하려면 여러가지 살펴볼게 많다. 블로그는 크게 가입형과 설치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가입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 가입형은 주요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것으로 포털 사이트의 회원이 되면 누구나 블로그를 개설할 수 있다. 개인 브랜드를 구축하고 구글 광고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려는 전문적인 블로거를 지향한다면 가입형 블로그는 적당하지 않다. 설치형은 텍스트큐브,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등이 있다. 설치형이 갖는 장점은 개인 도메인으로 포워딩이 되고 블로그 스타일이나 스킨을 자유롭게 설정하고 광고 툴을 붙여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다양한 위젯을 내 마음대로 붙여서 테스트해 볼 수 있다는 점 등이다. 설치형은 이런 자유도가 높은 만큼 웹에 대해서 잘 알면 정말 자기만의 스타일로 블로그를 운..
다음에 검색 등록을 하면 지표보기 서비스가 가능해져서 자신의 블로그 순위를 알 수 있습니다. 혹시 모르신 분들은 등록해서 순위를 한번 살펴보면 재미있습니다. http://register.search.daum.net/index.daum 제 블로그를 검색해 보니..아래처럼 나옵니다. 개인 블로그 중에선 403위로 나오는군요. 한동안 관리하지 않았더니 많이 내려갔네요. 인터넷 미디어 트렌드 스포팅 http://www.trend.re.kr/ 2009.08.12 순위 : (2009년 08월 22일 현재) 전체 32,121위 > 컴퓨터, 인터넷 2,199위 > 인터넷 1,841위 > 블로그 471위 > 개인 블로그 403위 소개 : 사이트 트래픽, 도서, 뮤직비디오, 위젯, API 등 인터넷 미디어 트렌드 정보 제공.
티스토리는 다음의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다음 검색에서 모든 글이 검색 되지 않는군요. 다음에서 제 도매인으로 검색해 본 결과입니다. http://search.daum.net/search?w=blog&m=&q=TREND.RE.KR&sort=1 실제 블로그 글 전체보기로 하면 모두 있는데 http://search.daum.net/search?w=blog&m=inside&sort=1&q=http%3A%2F%2Fwww.trend.re.kr&blogUrl=http%3A%2F%2Fwww.trend.re.kr&preq=trend.re.kr&onlyone=2&ResultType=2 왜 검색에선 이렇게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티스토리 이용하시는 다른 분들은 검색 결과가 만족스러우신가요?
어떤 이유때문인지는 모르나 어느날 블로거뉴스 위젯이 작동이 안되더군요. 이유를 모르고 있다가 화가 나서 블로거뉴스 플러그인을 제거했습니다. 그리고 블로거뉴스에서도 탈퇴를 하고 재가입을 해서 리스트를 갱신하려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블로거뉴스 재가입이 안되면서 블랙리스트에 등로되어 재가입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도대체 왜 그렇게 처리되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려주지도 않는군요. 그냥 블랙리스트에 어느날 등록시키고 플러그인을 작동정지시켜버리는 다음의 행태가 정말 놀랍습니다. 말로만 오픈이군요. 정말 웃기는 일입니다. 메이저 포털의 하는 일이 네이버나 다음이나 별반 다르지 않군요. 챠니님의 블로그를 보면서 다음이 많이 바뀌겠구나 생각했었는데 역시 한 두명의 선구자의 힘만으로 세상을 바꾸는 것은 무리인가 봅니다...
오늘 블로거뉴스 위젯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듯 하여, 블로거뉴스를 방문해서 제가 작성한 글을 살펴보다가, 마이블로거뉴스로 들어가보니, 프로필과 간단한 통계가 있더군요. 통계에 보니 아래 사진과 같이 활동내역이 있습니다. 두번째 통계가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베스트 수가 2개로 나오는데,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군요. 해당 숫자 혹은 제목에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링크를 걸어 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블로거뉴스 베스트 수에 온마우스를 할 때 툴팁텍스트로 그것의 의미를 알려주고, 2개라고 표시된 수량에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링크를 걸어주는게 어떨까 싶네요.
티스토리에서 블로거뉴스 기자단에 가입한 블로거들은 블로거뉴스로 콘텐츠를 피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아래와 같은 블로거뉴스 추천 기능을 가진 위젯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기능이 왠일인지 작동하지 않는군요. 블로거뉴스의 제 계정을 가 보니, 아래처럼 최신 등록 글 자체가 수집이 안되고 있습니다. 과거 글에는 여전히 위젯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보면, 최신글에서만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티스토리의 통계 기능 중에서 유입경로 분석이 있습니다. 이 서비스를 볼 때마다 이런 의문이 듭니다. 검색 서비스의 6~70%를 장악한 네이버 보다도 다음에서 더 많은 방문자가 (2배 이상) 존재합니다. 선듯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긴 합니다만, 사실 티스토리가 다음의 서비스인 만큼 다음에서 좀 더 각별하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네이버에도 홈페이지 등록을 하였기에, 네이버에도 동일하게 인덱싱이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티스토리에서 특별하게 제 글을 보여줄리도 없는 한 네이버 검색 유입자가 더 많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결과는 아래와 같이, 다음, 네이버, 구글, 라이브, 야후, 블로거뉴스 등의 순서로 나옵니다. 올블로그가 믹시보다는 유입량이 더 많군요. 여하간, 티스토리를 이용하는 파워블로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