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목록브라우저 (3)
Internet Media Trend
한국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용율은 기형적으로 높습니다. 각종 금융권의 ActiveX 사용 때문에 익스플로러를 사용합니다. 전 근 1년 가까이 구글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는데, 크롬 브라우저의 최고의 장점은 동기화 기능입니다. 사무실에 북마크를 해두면 집에서도 동일한 북마크 환경이 동기화됩니다. 동기화를 하려면 크롬 브라우저의 옵션 기능에서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온라인을 통해서 언제 어느곳에서건 북마킹했던 사이트를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딜리려스와 같은 온라인 북마킹을 이용하지 않아도 될 만큼 편리합니다. 그 외에도 크롬 브라우저는 강력한 번역 기능이 장점입니다. 해외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일본어나 중국어를 모르는 저로서는 구글 번역을 이용해서 대략적인 내용 파악이 가능하여 편리합니다.
구글이 제공하는 웹로그 분석 서비스인 구글 어낼리틱스(https://www.google.com/analytics/)로 제 블로그의 방문자가 이용하는 브라우저를 살펴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1위 인터넷 익스플로러 83.79% 2위 크롬 9.89% 3위 파이어폭스 3.76% 4위 사파리 1.85% 혹시 제가 크롬을 이용하고 있어서, 제 블로그 방문수에서 크롬 비중이 높게 나온 것은 아닌가 생각됩니다. 얼마전 기사에도 나왔지만 전세계 브라우저 시장에 변화가 존재합니다. 웹 브라우저 `3라운드` 더구나 최근에는 록멜트나 플록 같은 소셜 브라우저가 나와서 트위터/페이스북 등의 소셜 서비스가 연동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디선가 본 기억에 따르면 한국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용율은 90%를 훨씬 상회한다는 주장도 있습니..
자신의 블로그가 웹 표준에 맞는지를 검사해 주는 사이트가 있다. http://validator.w3.org/ 위 사이트에 자신의 블로그를 입력하고 체크를 하면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지를 알려 준다. 내 경우엔 생각지도 않았던 주석 때문에 파이어폭스에서 깨지는 문제가 있었다. http://validator.w3.org/check?uri=www.trend.re.kr&charset=%28detect+automatically%29&doctype=Inline&group=0 위와 같이 무려 147개의 에러가 발견되고 있다. 이런저런 스크립트를 설치형 블로그에 사용하고, 이 스크립트가 어느 부분에 들어갔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주석을 사용하는데 주석의 일반적인 형식을 따라주지 않아서 문제가 되었던 모양이다. 주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