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목록추천 사이트 (104)
Internet Media Trend
주요 소셜 미디어 사이트의 아이콘이 모여 있습니다. PNG 파일을 받을 수 있어서 프리젠테이션 문서 작성 시에 아주 좋을 듯 하여 공유합니다. http://www.iconspedia.com/pack/aquaticus-social-1367/#dload_ip 애플컴퓨터 관련 아이콘 목록입니다. http://www.iconspedia.com/cat/apple/ 아이폰 아이콘은 좀 별로네요 http://www.iconspedia.com/cat/iphone/
아래 사이트들은 현재 저의 트위터 계정에 연동하여 사용하는 매쉬업 사이트 목록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유용합니다. 바로 이런 점이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큰 차이일 것입니다. 두 서비스 모두 API를 기반으로 성장해 왔는데 트위터는 특히 이와 같은 매쉬업 서비스가 많습니다. 페이스북은 대부분 단순 연동으로 그치는 듯 합니다. 완전히 오픈되어 새롭고 재미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트위터 매쉬업 사이트들은 앞으로 더 많아질 것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완전한 개방성이 트위터의 폭발적 성장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You've allowed the following applications to access your account Retweet Rank Track you retweets and find ..
오늘 전자신문에서 좋은 내용이 나와서 공유합니다. 이반 카마이클 닷컴(http://www.evancarmichael.com)이 발표한 자료라 합니다. 소셜미디어 분야 대표 블로그 50개 목록입니다. 출처 :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002280001 1) Mashable(http://www.mashable.com) 2) All Facebook(http://www.allfacebook.com) 3) TwiTip(http://www.twitip.com) 4) Louis Gray(http://www.louisgray.com/live) 5) Techipedia(http://www.techipedia.com) 6) CenterNetworks(http://..
한국인 트위터 계정 수 통계 http://tki.oiko.cc/service/count 사용자 위치 통계 http://blog.oiko.cc/post/1323057365/tki-map 트위터 이용 프로그램 순위 출처 : http://twitstat.com/twitterclientusers.html 위 링크에는 183개의 순위가 모두 있습니다. RankClient% of usersTweets/user 1 (1) web 16.89 % 3.12 2 (2) TweetDeck 9.14 % 3.16 3 (3) Twitter for iPhone 8.50 % 2.70 4 (6) twitterfeed 6.72 % 4.91 5 (4) foursquare 5.49 % 1.48 6 (5) HootSuite 5.38 % 2.6..
에디슨 리서치에서 조사하여 만든 트위터 백서입니다. 흥미로운 내용은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인지도는 거의 동일한데 반해서 트위터 이용자가 페이스북만큼 많지는 않다는 점입니다. 트위터 이용자도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습니다. 한마디로 젊은 여자들의 수다 도구처럼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물론 미국 조사 결과입니다. 출처 : http://www.edisonresearch.com/twitter_usage_2010.php 파일 첨부했습니다. 관련 기사 : http://www.inc.com/news/articles/2010/05/twitter-just-as-well-known-as-facebook.html 위 기사에 대한 번역 : http://brainandemotion.com/?p=47
블로그얌이라고 블로그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이트가 있었는데, 트윗얌이라고 트위터의 가치를 평가해주는 사이트도 나왔군요. http://tweetyam.com 자신의 트위터 아이디를 입력하고 기다리면 트위터의 가치를 알려줍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애드얌이라는 또 다른 광고 사이트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https://www.adyam.kr/campaign/ 이 곳은 목록에 있는 광고 트윗을 날리면 돈을 주는 곳입니다. 트위터를 이용해서 돈을 벌 수 있게 해주는 사이트라고 보면 됩니다. 시험 삼아 몇개를 해 보았는데, 글쎄요. 제 팔로어분들이 어떻게 반응해 주실지는 미지수입니다. 아마도 좋은 글을 많이 작성하시는 트윕스는 별 문제가 없겠습니다. 이 광고 트윗은 팔로어가 아무리 많아도 광고 글에 따라서 50명이나 1..
아래 사이트에서 최근에 더 이상 트윗을 하지 않은 이용자들을 찾아내서 unfollow하면 됩니다. http://untweeps.com 2009년에 트윗을 작성한 후로 더 이상의 트윗이 없는 이용자는 사실상 휴면 계정이라 봐야 하겠죠. 이 서비스는 일정한 기간을 설정하여 그 기간 동안 트윗을 작성하지 않은 이용자를 찾아 줍니다. 적극적으로 트윗을 하지않는 이용자를 먼저 언팔하는 것이 맞겠지요.
오늘 2개의 트렌드 관련 사이트를 찾았습니다. 트렌드 모니터 http://www.trendmonitor.co.kr/ 이 사이트는 트렌드와 관련된 다양한 보고서가 있는 곳으로 유로로 자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메타트렌드 http://www.themetatrend.com/ 해외 사이트이면서 국내에도 법인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곳은 일종의 유료 매거진 서비스이긴 하나, 하부 서비스가 유용합니다. http://www.trenddb.com/ 이 사이트에서는 매일 매일의 트렌드 키워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트위터로도 소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http://twitter.com/METATRENDkr
고속도로의 통행량이 중요한 정보이듯이, 네트워크의 국가간 사용량도 중요한 정보입니다. 전문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를 연구하는 곳이 있습니다. 글로벌 트래픽 맵(Global Traffic Map) 자료를 보시면 정말 인터넷이 미국을 중심으로 어마어마하게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소한 인터넷 세계에서 미국의 지위는 당분간은 흔들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물론, 이처럼 엄청난 네트워크를 유발하는 콘텐츠가 무엇인가라는 점은 또 다른 문제입니다. 아마도 상당량이 비디오 콘텐츠나, 이미지 콘텐츠일 것입니다. 그 비디오나 이미지가 무엇인가라는 것은 이 데이터에서는 알 수 없습니다. 무엇이 유통되는지 궁금하다면 어느 사이트가 인기가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빠르겠죠. 알렉사닷컴에서 살펴보는 것이 맞을 겁니다.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