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Internet Media Trend
애드센스 CPM 단가는? 본문
제 블로그에 게재된 애드센스의 수익을 환산해 보았습니다.
지난 4개월간 애드센스가 얼마나 노출되었으며, 어느 정도 클릭이 발생하여 최종 어느 정도 수익이 발생했는가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오늘 환율 1,131원을 적용해서 비교해 보면, 그동안 노출당 0.96원 정도의 수익이 발생했습니다.
CPM으로 환산하면 CPM 960원 정도 된다고 보면 됩니다.
이 정도의 광고 단가라면 나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일반적인 매체의 광고 배너들이 보통 CPM 1,000원 정도에 집행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일반 매체들이 CPM 1,000원에 광고를 집행하게 되면, 대행사 수수료 20%에 미디어렙 수수료 20%를 지불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매출 대비 순익은 60%에 불과합니다.
결과적으로 구글 애드센스를 붙여 놓으면 그와 같은 수수료가 제외된 것이므로 오히려 일반적인 광고 대행사와 렙사를 통해서 수주하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국내 인터넷 광고 시장의 불균등한 발전은 이와 같은 대행사/렙사의 높은 대행 수수료 때문입니다.
네트웍 광고보다 수익율이 낮다면 시장의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요?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 미디어와 언론의 미래 (0) | 2011.02.13 |
---|---|
허핑턴 포스트는 거액에 팔렸다. 한국에 무엇이 있나? (0) | 2011.02.10 |
페이스북과 블로그 그리고 트위터 (0) | 2011.01.09 |
페이스북이 트위터를 앞지른 시점에서의 한 마디 (0) | 2010.12.08 |
플랫폼 사업자가 시장을 지배할 때 (0) | 2010.11.25 |
생산자의 이익과 플랫폼 사업자의 정책 (0) | 2010.11.08 |
트위터에서 싫은 상대를 견뎌낼 것인가? Block한 목록을 확인하려면? (0) | 2010.10.31 |
트위터에서 자기소개(Bio)의 중요성과 트윗애드온의 팔로잉 검색 (0) | 2010.10.15 |
개방형 플랫폼을 미디어 기업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0) | 2010.09.29 |
[자료 공유] 온라인 미디어 트렌드 및 대응 전략 (0) | 201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