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04. 스트라베이스 블로그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통계
- 주요지수차트전광판
- 05. 아틀라스 리서치
- 전세계 웹사이트 통계
- 전세계 웹기획자 사용 웹브라우저 통계
- 전세계 API 이용 통계
- 전세계 매쉬업 이용 통계
- 글로벌 500 (2009) - 포츈
-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 인터브랜드 100
- Adyam
- ad.ly
- sponsoredtweets
- magpie
- 온라인 이미지 편집 pixlr.com
- 온라인 영상 편집 flaon.com
- 온라인 바탕화면 캡쳐
- 온라인 화면캡쳐 .screentoaster
- 애드센스 블로그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Social Media & Social Marketin…
- 글로벌 500 (2010) - 포춘
- 02. Digital X
- 01. 제레미의 TV 2.0 이야기
- 03. 모비즌
Internet Media Trend
검색 순위는 믿을 수 있는가? 본문
오늘 갑자기 이 생각이 들었습니다.
네이버나 다음 등 주요 포털은 모두 검색어 순위를 제공합니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검색어는 필터링 당할 것이며, 특정 세력에 의해서 고의적으로 이유 없이 순위에 올라오는 검색어 역시 필터링 당합니다.
그런 검색어를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일치할 것이라고 쉽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혀 일치하지 않을 것입니다.
확인 작업 들어갑니다.
네이버 http://searchc.naver.com/pw/
다음 http://trend.search.daum.net/SearchTrend/index.html
엠파스(네이트) http://search.empas.com/keyword/
야후 http://kr.searchcenter.yahoo.com/keyword
파란은 페이지가 없군요. 실시간 인기검색어 순위가 있으나, 검색어를 종합해서 보여주는 곳을 찾지 못했습니다.
구글 월간 검색어 http://www.google.co.uk/press/intl-zeitgeist.html#kr
구글은 좀 다르지만, 구글 트렌드라는 서비스에서 검색어의 검색 추이를 보여줍니다.
http://www.google.com/trends
위 페이지들과는 별도로, 각 포털 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전혀 생각지 못한 결과가 나옵니다.
네이버 야후 파란의 검색어는 순위는 아니지만 유사한 검색어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유독 엠파스 검색어는 그러한 것들이 보여지지 않습니다.
실제 포털의 검색어 순위는 조작에 대한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한겨레에는 이런 뉴스도 있었군요. 포털 검색어 순위 조작 “여론몰이 악용 우려”
검색어는 더 깊이 생각하면서 이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엠파스를 제외한 4개 포털의 검색어는 부분적으로 일치합니다.
그러나, 네티즌이 관심을 갖는 대상이 각 포털별로 저렇게 다르게 나온다는 것은 역시 그 이유가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물론 각 포털의 실시간 인기 검색어가 모두 동일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순위는 차이는 있을지언정 전체적인 검색어 패턴은 어느 정도는 일치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각 포털 기획자가 들으면 정말 기함할 만한 말이긴 합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모집단이 커져 버리면 작은 특성과 차이가 무시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네이버나 다음 등 주요 포털은 모두 검색어 순위를 제공합니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검색어는 필터링 당할 것이며, 특정 세력에 의해서 고의적으로 이유 없이 순위에 올라오는 검색어 역시 필터링 당합니다.
그런 검색어를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일치할 것이라고 쉽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혀 일치하지 않을 것입니다.
확인 작업 들어갑니다.
네이버 http://searchc.naver.com/pw/
다음 http://trend.search.daum.net/SearchTrend/index.html
엠파스(네이트) http://search.empas.com/keyword/
야후 http://kr.searchcenter.yahoo.com/keyword
파란은 페이지가 없군요. 실시간 인기검색어 순위가 있으나, 검색어를 종합해서 보여주는 곳을 찾지 못했습니다.
구글 월간 검색어 http://www.google.co.uk/press/intl-zeitgeist.html#kr
구글은 좀 다르지만, 구글 트렌드라는 서비스에서 검색어의 검색 추이를 보여줍니다.
http://www.google.com/trends
위 페이지들과는 별도로, 각 포털 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9/32_12_20_36_blog109223_attach_0_4.jpg?original)
네이버 야후 파란의 검색어는 순위는 아니지만 유사한 검색어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유독 엠파스 검색어는 그러한 것들이 보여지지 않습니다.
실제 포털의 검색어 순위는 조작에 대한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한겨레에는 이런 뉴스도 있었군요. 포털 검색어 순위 조작 “여론몰이 악용 우려”
검색어는 더 깊이 생각하면서 이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엠파스를 제외한 4개 포털의 검색어는 부분적으로 일치합니다.
그러나, 네티즌이 관심을 갖는 대상이 각 포털별로 저렇게 다르게 나온다는 것은 역시 그 이유가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물론 각 포털의 실시간 인기 검색어가 모두 동일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순위는 차이는 있을지언정 전체적인 검색어 패턴은 어느 정도는 일치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각 포털 기획자가 들으면 정말 기함할 만한 말이긴 합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모집단이 커져 버리면 작은 특성과 차이가 무시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뜨는 음란 성인 사이트는? (1) | 2008.05.31 |
---|---|
시대가 거꾸로 가는 것은 아닌지 (0) | 2008.05.30 |
조선일보 구내식당은 호주산 청정우만 취급한다? (0) | 2008.05.30 |
블로그 마케팅 (0) | 2008.05.30 |
구글 지메일에 필요한 기능 (0) | 2008.05.18 |
미친 소를 잘못 먹은 조중동 (2) | 2008.05.11 |
다음에 홈페이지 등록이 되었다. (0) | 2008.03.09 |
파워블로거는 매달 2억을 번다고? (0) | 2008.03.03 |
구글 애드센스를 이용하면서 다른 광고를 해서는 안된다? (3) | 2008.03.03 |
메타 블로그에 대하여 (0) | 2008.03.01 |